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주기능사 자격증 와인 식사에 따른 분류 알콜첨가 유무에 따른 분류

자격증 공부/조주자격증 공부

by 나비다비 2023. 1. 17. 20:30

본문

조주기능사 자격증 필기 와인 분류

식사에 따른 분류

와인은 여러 종류로 분류를 할 수 있다. 식사법에 따라 하는 분류로는 식전주, 테이블와인, 디저트와인으로 나뉜다.

식전주는 아페리티프 와인(Aperitif Wine)이라고 하며, 식욕을 돋구기위해 한 두잔 마시는 와인이다. 주로 강화주나 향이 강한 와인을 사용하며 달지 않은 산뜻한 맛을 주로 이용한다. 드라이 셰리(dry sherry), 샴페인(champagne), 베르무트(vermouth) 등이 있다. 테이블와인(table wine)은 식사에 곁들여 마시는 와인으로 보통 화이트와인과 흰 살 고기(가금류, 생선류), 레드와인과 붉은 살 고기, 일반 육류를 곁들인다.

디저트와인(dessert wine)은 후식에 곁들이는 와인으로 단 맛이 주를 이룬다. 포트와인(port wine), 아이스와인(ice wine), 크림셰리(cream sherry),귀부와인(예:토카이와인)등이 있다.

알콜첨가 유무의 분류

알콜을 첨가한 주정강화와인(Fortified wine)과 비강화주(unfortified wine)로 나눌 수 있다.

주정강화와인(Fortified wine): 알콜 도수를 높이기 위해 발효시키거나 발효 진행중인 와인에 증류주를 첨가해 발효를 정지시켜 만든다. 스페인의 셰리(sherry), 포르투갈의 포트와인(port wine), 마데이라(madeira) 등이 있다.

비강화주(unfortified wine):증류주 첨가하지 않은 와인.


가향와인(flavoured wine)

와인의 발효 전후에 브랜디, 과일즙, 허브, 쑥 등을 넣어 만든 와인으로 베르무트(vermouth), 샹그리아(sangria)등이 있다. 아페리티프 와인 용으로 만든 와인. 베르무트의 어원은 향쑥의 독일명 vermut에서 유래하였다.


와인은 여러 갈래로 분류할 수 있다.

조주기능사 자격증 필기시험 양조주 파트에서 와인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역사적으로도 기나긴 비중을 차지했던 와인이다. 와인을 분류하는 방법을 잘 이해하면 생소한 단어들 또한 익숙해 질 것 같다. 분류 방법이 달라서 그렇지 같은 단어들이 반복적으로 눈에 띄이기 때문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