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은 한국어로는 포도주, 프랑스어로는 vin 뱅,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로 vino 비노, 영어로는 wine 와인, 독일어로는 wein 바인 이라고 한다. 라틴어 vinum비넘 ‘발효시키다’라는 뜻에 어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더 깊은 어원이 있는 것 같은데 조주기능사 자격증 필기시험을 위한 이해로는 이정도만 알아도 될 것 같다.
양조주의 단점으로는 선입선출(FIFO:first in first out)에 주의하여야 한다고 했는데 와인과 식초의 단어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식초는 vinegar 비니거 라고 하는데 vin 와인+aigre 신, 시큼함= 시큼한 와인 에서 유래되었다.
와인은 누가 처음 만들어 마시기 시작했는지 모른다. 어렸을 적 보았던 그리스로마신화 만화에 따르면 술의 신 디오니소스가 수확한 포도를 실수로 밟아 으깼는데 며칠 뒤 술이 되었다고 한다.
와인은 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발효되어감에 따라 수분이 85%, 알콜이 9~13%, 비타민, 당분, 유기산, 각종 미네랄, 폴리페놀 등이 만들어진다.
와인의 품질이 좋아지고 나쁘고는 환경에 따른다. 토양, 기후(일조량, 강수량 등), 포도재배방법, 양조법이 영향을 미치는데 그것을 떼루아(Terrior)라고 한다.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원산지 통제법을 통해 떼루아의 특징들을 엄격하게 관리한다.
ex) 프랑스(AOC) 이탈리아(DOCG)
와인을 분류하는 방법은 많은데, 색에 따라 분류해 보자면 레드와인, 화이트와인, 로제와인이 있다.
-레드와인은 적포도를 통째로 사용해 발효시킨다. 안토시아닌 성분이 붉은 빛을 내며 탄닌성분으로 인해 떫은 맛이 난다. 알콜도수는 13~15도, 온도는 16~18도가 좋다. 차가울수록 탄닌으로 인해 떫다.
(대표 포도 종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누아, 시라 등이 있다.)
-화이트와인은 청포도을 쓰거나 적포도의 껍질,씨를 제거하고 만든다. 껍질과 씨로 인해 탄닌성분이 생겨 떫은데 그걸 제거하니 떫은 맛이 적고 과일맛이 강하다. 레드와인보다 도수가 낮고 차갑게 마셔야 맛있다.
(대표 포도 종으로 샤르도네, 리슬링, 소비뇽 블랑 등이 있으며 가톨릭 미사주로 주로 쓰인다.)
-로제와인은 핑크색을 띄는데 레드와인 만들듯 만들다가 껍질을 제거해서 만들거나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을 섞어서 만들기도 한다. 화이트와인처럼 차갑게 마시는 것이 맛있다.
조주기능사 자격증 와인 분류 맛에 따른 분류 (0) | 2023.01.23 |
---|---|
조주기능사 자격증 와인 지역 이름 (0) | 2023.01.18 |
조주기능사 자격증 와인 식사에 따른 분류 알콜첨가 유무에 따른 분류 (0) | 2023.01.17 |
조주기능사 자격증 필기 음료 알콜 종류 양조주 종류 (0) | 2023.01.17 |
조주기능사 자격증 1회 필기시험 접수 (0) | 2023.01.17 |
댓글 영역